developer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developer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251)
    • 한양대공학대학원컴퓨터공학과 (1)
    • 통신프로토콜 (2)
    • eclipse (4)
    • spring (37)
      • spring 게시판 만들기 (6)
      • spring 로그인 처리 (2)
      • spring boot (9)
      • spring cloud config (0)
      • spring cloud eureka (0)
    • Git (19)
    • 체당금신청 (5)
    • Mybatis (8)
    • 전세금돌려받기 (2)
    • 아이폰 개발 ( i-os ) (5)
    • 주식 (5)
      • 일일매매동향 (5)
    • Vue.js (12)
      • Vue.js 동영상강좌 (4)
    • 자바강좌 (67)
      • 리팩토링 (13)
    • 취미 (21)
      • 관심기사 (8)
      • 영화 (2)
      • 여행 (9)
      • 마케팅 (2)
    • Database (25)
      • Oracle (10)
    • C언어강좌 (1)
    • 자바스크립트 (18)
      • 자바스크립트 디자인패턴 (2)
      • jquery (9)
    • 파이썬 (5)
    • 정보관리기술사 (4)

검색 레이어

developer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spring boot swagger 사용 샘플 코드

스웨거 사용 샘플 코드입니다. 자세한 lecture는 다음기회로 미루겠습니다. 요즘 좀 바쁘네요. ^^;;; ​ https://github.com/developer10160221/swagger

spring/spring boot 2019. 8. 5. 23:51

IntelliJ IDEA에서 Git 연동하는 방법

일단 먼저 IntelliJ의 설정 파일로 들어갑니다. ​ Ctrl + Alt + S 나 File > Settings 메뉴로 진입을 합니다. 여기서 Settings 화면 상단 왼쪽 찾기 버튼에서 "Version"을 입력하고 찾으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위의 빨간색 표시된 부분에서 Git 설치경로를 선택해준다음 TEST로 정상적으로 연결되는지 확인합니다. 그런 다음 IntellJ 메뉴의 VCS > import into version control > create git repository를 선택하여 아래와 같은 창이 뜨면 자신이 생성한 프로젝트 파일을 선택하고 OK를 눌러줍니다. 저는 test를 선택하여 생성하였고, 그런다음 git bash를 선택하고 아래화면에서 보실 수 있듯이 아직 git의 st..

Git 2019. 8. 4. 22:58

IntelliJ IDEA 에서 GitHub로 소스 올리는 방법

인텔리제이에서 GitHub로 소스 올리는 방법에 대한 유튜브 동영상입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VBNOUDMDweE

spring/spring boot 2019. 8. 1. 23:00

자바에서의 네트워크 프로그래밍(InetAddress)

네트워킹(networking)이란 두 대 이상의 컴퓨터를 케이블로 연결하여 네트워크(network)를 구성하는 것을 말합니다. 네트워킹의 개념은 컴퓨터를 서로 연결하여 데이터를 용이하게 주고받거나 프린터와 같은 주변기기를 공유하고자 할때 사용합니다. ​ 자바에서는 IP 주소를 용이하게 다루기 위해 InetAddress라는 클래스를 제공하며 아래와 같은 메서드를 제공합니다. 메서드 설명 byte[] getAddress() IP주소를 byte배열로 반환합니다. static InetAddress[] getAllByName(String host) 도메인명에 지정된 모든 호스트의 IP주소를 배열에 담아 반환합니다. static InetAddress getByAddress(byte[] addr) byte배열을 통해..

자바강좌 2019. 7. 28. 21:19

직렬화 두번째 시간

직렬화(스트림에 객체를 출력)에는 ObjectOutputStream을 사용하고 역직렬화(스트림으로부터 객체를 입력)에는 ObjectInputStream을 사용합니다. ObjectInputStream과 ObjectOutputStream은 보조스트림으로써 객체를 생성할때 직렬화 및 역직렬화할 스트림을 지정해야합니다. 직렬화가 가능한 클래스를 만드는 방법은 직렬화하고자 하는 클래스가 java.io.Serializable인터페이스를 구현하면 됩니다.

자바강좌 2019. 7. 28. 20:52

직렬화(Serialization)

직렬화(serialization)란 객체를 데이터 스트림으로 만드는 것을 뜻합니다. 덧붙여 말하면 객체에 저장된 데이터를 스트림에 write하기 위해 연속적인(serial) 데이터로 변환하는 것을 말합니다. 반대로 스트림으로부터 데이터를 읽어서 객체를 만드는 것을 역질렬화(deserialization)라고 합니다. ​ 직렬화라는 용어 때문에 괜히 어렵게 느껴질 수 있는데 사실 객체를 저장하거나 전송하려면 당연히 이렇게 할 수 밖에 없습니다. ​ 이미 앞서 객체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여기서 객체란 무엇이며, 객체를 저장한다는 것을 무엇을 의미하는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객체는 클래서에 정의된 인스턴스변수의 집합입니다. 객체에는 클래스변수나 메서드가 포함되지 않습니다. 객체는 오직 인스턴스변수들로만 ..

자바강좌 2019. 7. 27. 11:32

IntelliJ IDEA 에서 spring boot 프로젝트 생성

인텔리제이에서 스프링부트 프로젝트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실행을 시키고 "Create New Project"를 클릭합니다. Spring Initializer를 선택하고 Next를 클릭하여 넘어갑니다. Group => 프로젝트 저장소와 관련된 Artifact그룹이며, 통산적으로 com.xxx 형식으로 작성합니다. Artifact => 프로젝트 Artifact Type => Maven Project와 Gradle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Maven을 선택하였습니다. Language => 사용언어를 나타냅니다. Packaging => 배포할때 jar로 패키징을 할지 War로 패키징을 할지 선택하는 항목입니다. War를 선택합니다. jar : 스프링부트에 내장된 톰캣을 이용하고 별..

spring/spring boot 2019. 7. 24. 23:18

File

자바에서 파일은 기본적이면서도 가장 많이 사용되는 입출력 대상이기 때문에 중요합니다. File 클래스를 통해서 파일과 디렉토리를 다룰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File 인스턴스는 파일일 수도 있고 디렉토리 일 수 도 있습니다. 파일의 생성자 및 메서드와 멤버변수는 File 클래스를 직접 열어서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 그럼 아래 예제를 보시죠. 위의 예제를 보시면 File 클래스의 getName, getPath, getAbsolutePath, getParent 메서드와 pathSeparator, pathSeparatorChar 정적멤버변수의 사용법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 그럼 두번째 예제를 보시죠. 소스가 간단해서 굳이 설명하지 않아도 아시리라 생각합니다. 컴맨드 창에서 해당 자바 경로..

자바강좌 2019. 7. 22. 23:04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 12 13 14 15 16 17 18 ··· 32
다음
TISTORY
developer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