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er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developer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251)
    • 한양대공학대학원컴퓨터공학과 (1)
    • 통신프로토콜 (2)
    • eclipse (4)
    • spring (37)
      • spring 게시판 만들기 (6)
      • spring 로그인 처리 (2)
      • spring boot (9)
      • spring cloud config (0)
      • spring cloud eureka (0)
    • Git (19)
    • 체당금신청 (5)
    • Mybatis (8)
    • 전세금돌려받기 (2)
    • 아이폰 개발 ( i-os ) (5)
    • 주식 (5)
      • 일일매매동향 (5)
    • Vue.js (12)
      • Vue.js 동영상강좌 (4)
    • 자바강좌 (67)
      • 리팩토링 (13)
    • 취미 (21)
      • 관심기사 (8)
      • 영화 (2)
      • 여행 (9)
      • 마케팅 (2)
    • Database (25)
      • Oracle (10)
    • C언어강좌 (1)
    • 자바스크립트 (18)
      • 자바스크립트 디자인패턴 (2)
      • jquery (9)
    • 파이썬 (5)
    • 정보관리기술사 (4)

검색 레이어

developer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java

  • 프로세스와 스레드

    2019.04.25 by somiyuralove

  • DecimalFormat, SimpleDateFormat, ChoiceFormat, MessageFormat

    2019.04.24 by somiyuralove

  • Scanner, StringTokenizer

    2019.04.23 by somiyuralove

  • Properties

    2019.04.23 by somiyuralove

  • Hashtable, HashMap, TreeMap

    2019.04.23 by somiyuralove

  • Hashset, LinkedHashSet, TreeSet

    2019.04.21 by somiyuralove

  • Iterator, Enumeration, ListIterator에 대해서...

    2019.04.20 by somiyuralove

  • 자바 collection framework( stack, queue )

    2019.04.20 by somiyuralove

프로세스와 스레드

프로세스(process)란 간단히 말해서 실행 중인 프로그램 입니다.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OS로부터 실행에 필요한 자원(메모리)을 할당받아 프로세스가 됩니다. ​ 프로세스는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데이터와 메모리 등의 자원 그리고 쓰레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프로세스의 자원을 이용해서 실제로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바로 쓰레드입니다. ​ 그래서 모든 프로세스에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쓰레드가 존재하며, 둘 이상의 쓰레드를 가진 프로세스를 멀티쓰레드 프로세스(multi-threaded process)라고 합니다. ​ * 멀티쓰레딩의 장점 1. CPU의 사용률을 향상 2.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 3. 사용자에 대한 응답성 향상 4. 작업이 분리되어 코드가 간결 ​ 멀티쓰레딩에 장점만 있는 것은 아니며 ..

자바강좌 2019. 4. 25. 21:22

DecimalFormat, SimpleDateFormat, ChoiceFormat, MessageFormat

형식화 클래스 중에서 숫자를 형식화 하는데 사용되는 것이 DecimalFormat입니다. DecimalFormat을 이용하면 숫자 데이터를 정수, 부동소수점, 금액 등의 다양한 형식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반대로 일정한 형식의 데이터를 숫자로 변환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 형식화 클래스에서는 원하는 형식으로 표현 또는 변환하기 위해서 패턴을 정의하는데, 형식화 클래스에서는 패턴을 정의하는 것이 전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SimpleDateFormat을 사용하면 날짜 데이터를 원하는 형태로 다양하게 출력할 수 있습니다. 아래의 예제를 음미해보시죠. ChoiceFormat은 특정 범위에 속하는 값을 문자열로 변환해줍니다. 연속적 또는 불연속적인 범위의 값들을 처리하는 데 있어서 if문이나 switch문..

자바강좌 2019. 4. 24. 22:27

Scanner, StringTokenizer

Scanner는 화면, 파일, 문자열과 같은 입력소스로부터 문자데이터를 읽어오는데 사용합니다. Scanner는 다양한 입력소스로부터 데이터를 읽어올 수 있고 정규식 표현을 이용한 라인단위의 검색을 지원하며 구분자에도 정규식 표현을 사용할 수 있어서 복잡한 형태의 구분자도 처리가 가능합니다. StringTokenizer는 긴 문자열을 지정한 구분자를 기준으로 토큰이라는 여려 개의 작은 문자열로 잘라내는 것을 말합니다. 정규표현식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들은 StringTokenizer를 사용하는 것이 간단하면서도 명확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그러나 StringTokenizer는 구분자로 단 하나의 문자 밖에 사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보다 복잡한 형태의 구분자로 문자열을 나우어야 할 때는 Scanner나..

자바강좌 2019. 4. 23. 22:55

Properties

Properties는 HashMap의 구버전인 HashTable를 상속받아 구현한 것으로, Hashtable은 키와 값을 (Object, Object)형태로 저장하지만 Properties는 (String, String) 형태로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 보통, 어플리케이션의 환경설정과 관련된 속성(property)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며 데이터를 파일로부터 읽고 쓰는 편리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그래서 간단한 입출력은 Properties를 활용하면 쉽게 해결 할 수 있습니다. ​ 그럼 아래의 예제를 보면서 이해해 보도록 합시다. ​ 이 포스트가 도움이 되셨다면 꼭 공감버튼을 눌러주세요. ^^*

자바강좌 2019. 4. 23. 22:48

Hashtable, HashMap, TreeMap

Hashtable은 HashMap의 이전 버젼이므로 HashMap을 사용하기를 권장합니다. 여기서는 Hashtable보다는 HashMap을 사용하여 예제를 진행해보도록 하겠습니다. HashMap은 Entry라는 내부 클래스를 정의하고, 다시 Entry 다입의 배열을 선언하고 있습니다. 키(key)와 값(value)은 별개의 값이 아니라 서로 연관된 값이기 때문에 각각의 배열로 선언하기 보다는 하나의 클래스로 정의해서 하나의 배열로 다루는 것이 데이터의 무결성적인 측면에서 더 바람직합니다. HashMap은 키와 값을 각각 Object타입으로 저장합니다. 즉(Object, Object)의 형태로 저장하기 때문에 어떠한 객체도 저장할 수 있습니다. 키(key)는 컬렉션 내의 키중에서 유일해야하고, 값(valu..

자바강좌 2019. 4. 23. 22:46

Hashset, LinkedHashSet, TreeSet

HashSet은 Set인터페이스를 구현한 가장 대표적인 컬렉션이며, Set 인터페이스의 특징대로 HashSet은 중복된 요소를 저장하지 않습니다. HashSet에 새로운 요소를 추가할 때는 add메서드나 addAll메서드를 사용하는데, 만일 HashSet에 이미 저장되어 있는 요소와 중복된 요소를 추가하고자 한다면 이 메서드들은 false를 반환함으로써 중복된 요소이기 때문에 추가에 실패했다는 것을 알려줍니다. HashSet은 저장순서를 유지하지 않으므로 저장순서를 유지하고자 한다면 LinkedHashSet을 사용해야합니다. ​ 아래 HashSet의 예제를 보도록 합시다. 그럼 저장순서를 유지하는 LinkedHashSet의 예제를 아래에서 함 보도록 하겠습니다. TreeSet은 이진검색트리(binary ..

자바강좌 2019. 4. 21. 00:56

Iterator, Enumeration, ListIterator에 대해서...

Iterator, Enumeration, ListIterator는 컬렉션 프레임워크에 저장된 요소들을 access하는데 사용되어지는 interface입니다. Enumeration은 Iterator의 이전 인터페이스라고 보시면 되고, ListIterator는 Iterator의 발전된 인터페이스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럼 먼저 Iterator부터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 Iterator - 컬렉션 프레임워크에서는 컬렉션에 저장된 요소들을 읽어오는 방법을 표준화하였습니다. 컬렉션에 저장된 각 요소에 접근하는 기능을 가진 Iterator인터페이스를 정의하고, Collection인터페이스는 Iterator(Iterator를 구현한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반환하는 iterator()를 정의하고 있습니다. iter..

자바강좌 2019. 4. 20. 19:01

자바 collection framework( stack, queue )

스택(stack)은 마지막에 저장한 데이터를 가장 먼저 꺼내게 되는 LIFO(Last In First Out)구조로 되어 있고, 큐(queue)는 처음에 저장한 데이터를 가장 먼저 꺼내게 되는 FIFO(First In First Out)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 쉽게 이야기하자면 만약 스택에 1,2,3이 넣는다면 꺼낼때는 3,2,1순서이고, 큐에 1,2,3을 넣는다면 1,2,3으로 꺼내게 된다. ​ 아래는 스택의 예제입니다. 그리고 아래는 큐의 예제입니다. 이상으로 스택과 큐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현업에서 스택과 큐에 대한 자료구조는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습니다. 각자의 상황에 맞게 커스터마이징해서 사용하시면 되겠습니다. 스택과 큐의 개념에 대해서는 반드시 알고 넘어가셔야합니다. 중요한 개념입니다.

자바강좌 2019. 4. 20. 18:30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다음
TISTORY
developer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